1. 드론 데이터 플랫폼 사용 시작 전
1.1 데이터 플랫폼 사용 전 준비(기기 추천)
1.드론
기본적으로 카메라와 SD카드(사진 저장매체)가 장착된 드론을 사용.
DJI 드론 이용 시 DJI Go4 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Officially Supported" 확인을 한 후 시범 운행하여 드론과 카메라가 잘 작동하는 지 확인 후 이용.
2. 드론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기기
iPad (ios 13버전 이상 지원 기기) - iPad 5세대, 6세대, 7세대, iPad mini - 5세대
안드로이드 기기 : 삼성 갤럭시 S7 이상 기기 추천. 안드로이드 이용 시 - 'Ctrl+Dji', 'Pix4d Capture', 'DJI Go 4' 3가지 앱 별도 설치 필요.
3. 메이사 플랫폼을 실행시킬 기기
인터넷이 연결된 어떠한 전자기기
메이사 모바일 비행 제어 앱은 '아이패드'에서만 지원합니다.
1.2 비행 금지구역 확인 및 규제
일반적으로 공역의 사용목적에 따라 관제공역, 비관제공역, 통제공역, 주의공역으로 구분
드론의 경우 관제권과 비행금지구역을 벗어난 지역에서 150m 미만으로 비행하는 경우에는 비행 승인을 받지 않고 비행을 할 수 있습니다. (비행 신청 후 승인 시 150m 이상 비행도 가능)
관제권 : 공항 중심으로 반경 9.3km까지의 공역
드론 사진 촬영은 비행승인과 별도로 무조건 승인 받아야 합니다.
드론 비행 금지구역은 사이트와 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애플리케이션 : Ready to fly 사이트 : V world 지도, Notam 항공고시 등
1.3 드론 비행 신고 및 촬영 신고
비행 승인 신청은 항공 민원 처리 시스템인 '드론원스톱' 홈페이지에서 진행할 수 있습니다.
2. 촬영 신고 신청은 '비행 신고'와 같이 항공 민원 처리 시스템인 '원스탑' 홈페이지에서 진행할 수 있습니다.
촬영 신고는 '비행 신고'와 비슷한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촬영 허가는 7일 전 신청이 원칙이며, 허가가 완료되면 배정된 군부대 보안 담당관 입회하에 드론 촬영이 진행됩니다. 담당자의 연락처는 드론원스톱에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전에 연락하여 관련된 내용을 확인하는 것 중요합니다.
사전에 작성된 내용을 동일하게 작성하실 경우 상단의 불러오기 버튼 클릭->신청서 조회를 통하여 이전에 작성한 신청서를 불러올 수 있습니다.
1.4 드론 비행 제어 어플 선택
DJI 드론 사용 시 기본적인 세팅을 위한 앱으로 'DJI Go 4' 어플 사용 추천
안드로이드 이용 시 - 'Ctrl+Dji', 'Pix4d Capture', 'DJI Go 4' 3가지 앱 별도 설치 필요.
DJI Go 4 을 사용하여 "Officially Supported" 문구 확인이 뜨는 카메라와 렌즈를 이용하여 테스트 확인 후 사용.
비행 전 드론에서 생길 수 있는 문제 체크리스트 확인
드론 비행 제어 플리케이션 설정(기본설정, 고급설정)을 통한 사진 촬용 (드론 제어 앱 추천 : 'DJI GS Pro', 'Pix 4D Capture', Drone deploy')
1.5 드론 촬영 제어 앱 사용
비행 제어 앱 사용 전 'DJI Go 4' 앱을 실행하여 드론의 상태를 점검합니다.
배터리 용량과 GPS 수신 상태, IMU와 캘리브레이션 상태, 조종기와 연결 상태를 확인 후. "비행 준비 완료"가 뜬 상태까지 확인 후 드론 비행 제어 앱을 실행합니다.
DJI Go 4 앱을 통해 드론 상태 점검을 하신 후 꼭 수동 비행을 통해 자동 비행 경로 위치에 대하여 비행에 위험이 없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주변의 고층 건물 및 높은 지형이 있을 시 충돌 사고가 나기 쉽습니다.
비행 예상 범위가 어느 영역을 얼마만큼 포함하고 있는지 지상에서 자세히 확인해야 합니다.
비행 제어 앱 'DJI GS Pro'로 사용법
DJI 드론과 가장 호환성이 좋은 'DJI GS Pro' 앱을 드론 촬영 제어 앱으로 추천드립니다!
DJI GS Pro 앱을 실행 시킨 후 계정으로 로그인하면 미션을 생성할 수 있는 버튼이 있습니다.(My Missions)
비행 미션을 생성합니다.(좌측 하단 파란색 원 안에 있는 플러스 버튼을 클릭)
클릭하면 5가지 미션 종류가 나타납니다. 그 중 정사사진 촬영을 위한 'Photo Map' 선택.
Photo Map을 선택하면 Tap 과 Aircraft가 나타납니다. 그 중 'Tap' 선택. Tap : 화면을 손가락으로 터치하여 영역 설정 방법 Aircraft : 드론 위치를 기준으로 웨이포인트를 찍으면서 영역 설정하는 방법
Tap 설정 후 화면에 지도가 나타나며 비행 구역 그리기를 합니다.
원하는 촬영 지역에 크기에 맞게 그립니다.
비행 구역 그리기 완료 후 기본 설정 및 고급 설정을 통해 주행에 대한 구체적인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오른쪽 설장창에 보면 'Basic', 'Advanced' 2가지 탭이 있습니다.
'Basic' 탭을 통해 카메라 설정(Camera Model), 캡처 모드(Capture Mode), 고도(Height) 3가지를 맞게 설정하셔야 합니다.
'advanced' 탭을 통해 종중복도, 횡중복도, 코스 도, 미션 종료 후 행동 설정, 4가지를 맞게 설정하셔야 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본설정, 고급설정이 완료되면 비행을 할 준비가 완료되었습니다.
우측 상단 파란색 배경의 비행기 모양 버튼을 클릭하면 드론 상태 확인 창으로 넘어갑니다
모든 상태가 확인 된 후 오른쪽 아래의 'Start to fly' 버튼을 눌러 드론을 이륙시킵니다.
이륙 후 모든 촬영이 끝나고 돌아올때까지 계속 모니터링하며 제대로 비행중인지 확인합니다.
드론이 비행경로를 잘 따라가고 있는지 확인은 드론을 날린 조종자가 해야할 일입니다.
또한 지속적으로 패드를 통해 드론의 상태도 확인해야합니다. 베터리가 부족하면 페일 세이프(Fail Safe) 기능이 작동하여 미션 도 중 중간에 최초 이륙장소로 돌아올 수 있지만 배터리 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하여 비행에 문제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비행 제어 앱 'Pix4D capture'로 사용법
Pix4D Capture 앱을 실행 시킨 후 계정을 생성하여 로그인 합니다.
로그인 시 다음과 같이 여러가지 미션 방법들이 제시됩니다. 그 중 'POLYGON MISSION'을 클릭하여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
다음과 같은 화면에서 프로젝트 이름을 설정하여 OK 버튼을 클릭하면 새로운 프로젝트가 생성됩니다.
다음과 같이 프로젝트 창으로 넘어오면 '+' 버튼을 클릭하여 새로운 미션을 생성합니다.
새로운 프로젝트가 생성되면 드론의 비행 촬영 지역 설정 과 드론의 위치를 정확하게 알기 위해 'Ctrl+DJI' 앱으로 이동하라는 메시지가 나타납니다.
'Ctrl+DJI' 앱으로 이동하여 Pix4D capture 앱과 드론이 잘 연동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다음과 같은 화면으로 이동되어 연결중인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연결이 확인이 됬으면 'Open PIX4D CAPTURE' 를 클릭하여 다시 기존 비행 제어 어플로 돌아갑니다.
화면 왼쪽 고도 설정를 정합니다. 주변 상황에 맞게 고도 설정을 진행합니다.
고도가 낮을수록 해상도는 높지만 촬영 사진 수가 많아지며 주변 충돌위험이 있습니다.
비행 고도는 드론이 최초 이륙하는 지상을 기준으로 설정됩니다.
환경설정을 완료한 후 비행경로를 마지막을 확인 후 'START' 버튼을 클릭합니다.
촬영 전 드론 자동 비행 관련된 세팅을 마지막으로 점검합니다.(범위와 고도 높이 확인)
비행 제어 어플에서 마지막으로 확인합니다. 다음과 같이 초록색 체크표시가 전부 뜨면 'PRESS AND HOLD(3 S) TO TAKEOFF' 버튼을 3초간 클릭 시 비행 시작화면을 넘어갑니다.
한 가지 사항라도 X 표시 또는 느낌표 표시가 뜨면 비행이 실행되지 않습니다.
주로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았거나 드론에 SD Card가 있는지 확인하셔야 합니다.
드론이 이륙 후 다음과 같은 화면에서 촬영이 진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드론이 비행경로를 잘 따라가고 있는지 확인은 드론을 날린 조종자가 해야할 일입니다.
또한 지속적으로 패드를 통해 드론의 상태도 확인해야합니다. 베터리가 부족하면 'ABORT' 버튼 작동하여 미션 도중 중간에 최초 이륙장소로 돌아올 수 있지만 배터리 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하여 비행에 문제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1.6 드론 촬영 제어 앱 사용 시 주의사항
주로 안드로이드 휴대폰,태블에서 드론 기체와 앱이 연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현상이 주로 일어납니다.
예를 들어 'DJI Go 4' 앱을 실행 시 드론과 연결이 안되어 있다고 나오거나 'Ctrl+DJI' 앱을 실행 시 드론과 연결 되어 있지 않다라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드론 컨트롤러를 On, Off를 한다거나 연결 선을 뽑았다가 꼽았다, 반복이 필요합니다.
실행 후 'Pix4D Capture' 자동 비행 과정을 수행합니다.
Last updated
Was this helpf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