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 드론 데이터 플랫폼 사용
Last updated
Was this helpful?
Last updated
Was this helpful?
3D 지도 화면을 이용하여 사진으로 2D 정사사진으로 볼 수 없는 구역을 볼 수 있습니다.
3D 모델은 '3D점(Point Cloud)', '3D면(Mesh)', '계획비교' 3가지 형태로 뷰어가 제공됩니다.
3D 지도 화면 사용법
좌클릭 : 3D 축방향 이동
우클릭 : 3D모델 위치 이동
스크롤 : 크기 조절
'포인트 점 크기 조절'을 통해 포인트 클라우드 점 크기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마우스 가운데 스크롤을 이용하여 확대 및 축소를 할 수 있습니다.
3D 이동하고 싶은 객체의 지점을 선택한 후 마우스 우클릭을 누른 채로 마우스를 위, 아래, 좌, 우로 움직이면 해당 모델이 이동합니다.
3D 모델의 축 이동(예 : 평면 -> 입면)을 할 경우 마우스 좌클릭을 한 채로 위 아래로 움직이면 축 이동을 할 수 있습니다.
3D 모델의 축 이동(예 : 단면 -> 입면)을 할 경우 마우스 좌클릭을 한 채로 좌 우로 움직이면 축 회전이 가능합니다.
5.4.1 3D 지도 지도 도구 이용
마커 기능을 이용하여 원하는 위치에 점을 찍어 X, Y, Z 좌표값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길이 측정을 통해 2D 지도에서 확인할 수 없었던 곳의 길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높이 측정을 통해 원하는 위치의 2개의 점의 높이(길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계획 비교에서 해당 현장의 현황고, 계획고의 투명도 설정이 가능합니다.
계획 비교에서 선으로 보기 기능을 이용하여 현황고, 계획고 비교에 가시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비교 슬라이더를 통해 날짜 별 현장의 변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중앙 스크롤 바를 통해 좌, 우로 이동하며 날짜별 상황의 변화를 볼 수 있습니다.
우측 상단 날짜를 클릭하여 선택하고 싶은 날짜를 선택하여 현장 상황을 비교할 수 있습니다.
GCP(ground control point)를 지정하지 않고 업로드 시 날짜별 상황 비교 시 현장 위치(배치)의 차이가 생길 수 있습니다
현장 사진, 정사 사진, point cloud, 3D mesh 등 원하는 파일 형태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날짜의 우측에 있는 톱니바퀴 모양을 클릭하시면 '공유하기', '수정하기', '보고서' 기능을 이용하여 다른 이용자 또는 플랫폼을 이용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여러가지 형태로 공유할 수 있습니다.
공유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2D 지도 주소 생성', '3D 지도 주소 생성'을 할 수 있습니다.
주소가 생성되면 '복사'버튼으로 자동 변경 됩니다. 변경된 '복사' 버튼을 클릭하여 플랫폼을 이용하지 않는 사람에게 주소를 보내시면 메이사 플랫폼에서 생성된 2D 지도와 3D 지도를 볼 수 있습니다.
'수정 하기' 버튼을 이용하여 '사진 추가' 또는 '현장상황 삭제' 등 '현장상황 추가' 때 작성된 자료들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보고서' 버튼을 누르면 해당하는 날짜로 프로젝트 보고서가 생성됩니다.
생성이 완료되면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하면 'PDF'파일로 다운로드가 실행됩니다.
보고서는 해당 날짜의 정사 사진, 수치표고모델, 기록된 지도 도구, 촬영된 현장 사진이 기록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