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플랫폼 데이터 업로드
Last updated
Was this helpful?
Last updated
Was this helpful?
드론으로 촬영된 사진 데이터를 웹페이지에 업로드하면 자동으로 2D 정사사진과 3D 모델이 제작됩니다.
새 현장상황 버튼을 클릭하여 프로젝트의 새로운 날짜를 생성합니다.
촬영일을 설정하고 메모를 남겨 그 날의 특징이나 조건 등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 추가' 버튼을 클릭하면 가지고 있는 이미지를 업로드 할 수 있습니다.
최소 30장 이상 이미지가 필요합니다. 30장 이하의 이미지는 분석을 할 수 없습니다.
이미지 업로드가 완료되면 다음과 같이 촬영 사진의 각각의 위치가 지도 위에 나타납니다.
메이사 플랫폼은 분석 엔진을 3가지 방식으로 제공합니다. Meissa Engine과 Pix4D Engine, Metashape Engine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Pix4D 엔진과 Metashape 엔진은 계약 시 Premium 패키지 또는 별도 신청을 하셔야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사진 업로드가 완료되면 다음과 같은 '모든 파일이 업로드 완료되었습니다.' 창이 나타납니다
'건너 뛰기' 버튼을 클릭하면 사진 서버 업로드 창으로 이동합니다.
사진 업로드가 실패하면 다음과 같은 '빨간색 느낌표' 표시가 나타납니다. 해당되는 파일을 삭제 후 다시 업로드 하거나 파일을 변경하여 업로드해야 합니다.
다음과 같은 파일들은 업로드에 제한될 수 있습니다.
gif, jepg, png, jpg 파일 형태가 아닌 파일
사진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읽을 수 없는 파일
10MB가 넘는 고해상 사진 파일
그 외의 사항들로 인한 사진 파일 업로드 실패에 관해서는 담당자를 통하 문의 바랍니다.
이 외에도 기타 파일, 계획고를 같은 방법으로 업로드가 가능합니다.
사진 업로드에 문제가 없을 시 '분석'버튼을 누르 분석이 시작됩니다.
그 후 완료될 때까지 다음과 같은 화면을 유지하며 완료가 되면 다음과 같은 창이 사라지고 현장상황이 추가됩니다.
분석이 완료되면 현장 상황에 추가 되며 메이사 드론 데이터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면적과 사진 장수에 따라 분석 시간이 달라집니다.
200장 - 3 ~ 4시간
800장 - 8 ~ 10시간
GCP 미적용 시 문제점
높이 정보(Z축 데이터)가 현장에 맞지 않은 임의의 값으로 나옴 (예 : 현장의 실제 높이는 60m , 하지만 드론 데이터에 나타나는 높이 값은 -110m 값으로 나옴)
매 번 '현장상황 추가' 시 현장의 위치가 조금씩 뒤틀린 (x,y,z) 값의 오차가 발생. 오차의 범위는 대략 5cm~ 2m
모델링의 퀄리티가 저하된다.